** computer 용어
- PDT (Pacific Daylight Time)
-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업무 재설계 - 할 수 있는 것에서 해야 하는 것으로의 혁신적인 사고 전환을 통해 회사 업무 처리 프로세서를 목적 추구형, 병렬처리형 등으로 혁신시킴은 물론 이와 관련된 사업 활동을 영위하는 조직의 측면에 있어 작업을 개선하고 자원의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햐여 하나의 목적으로 처음부터 다시 근본적인 변화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BPR의 개념에는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컴퓨터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 BSRAM(Burst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시스템 클록 또는 어떤 경우 캐시 버스의 클록에 동기화된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메모리를 참조하는 어떠한 장치와도 쉽게 동기화할 수 있게 해주며, 액세스 대기 시간을 줄여준다. BSRAM은 펜티엄 2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셋의 L2 캐시 메모리로 사용된다.
- Burst - 네트워크기술의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특정량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현상이 짧은 시간안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말하며, 데이터를 전송 할 때 어떤 부분에서 오류가 집중적으로 일어나거나, 주기억 장치의 내용을 캐시 기억 장치에 블록 단위로 한꺼번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 Clustering - 가변적인 업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서 서로 근접한 위치 또는 같은 장소에 있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나 단말 장치 등을 하나의 집단으로 집중 제어하여 한 대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도 운영이 계속되도록 여러 대의 컴퓨터 시스템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 컴퓨터 시스템은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고 단일 통신 채널을 공유하여 주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유사성과 같은 어떤 개념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몇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클러스터링은 기업이 PC와 워크스테이션 등에 이미 집행한 투자 효과를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별렬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며 새로운 PC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새로운 CPU를 추가하기가 비교적 쉽다는 장점이 있다.
- Flip-Flop - 두 가지 상태 사이를 번갈아 나타내는 전자회로를 말한다. 2개의 안정 상태가 있을 때 한쪽 안정 상태를 정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이어서 다른 쪽 안정 상태를 정하는 입력이 인가 되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는 회로로 2개의 안정한 상태를 각각 1 또는 0에 대응시켜 1비트를 기억할 수 있다.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지며, SRAM이나 하드웨어 레지스터 등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플립플롭에는 RS, D, JK, T 플립플롭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Heterogeneous : 이종 - 모든 정보 전달 채널의 자료 신호율이 서로 다른 다중 방식으로 구성요소들이 서로 비슷하지 않은 특성을 지칭한다. 정보통신에서는 이러한 용어는 서로 다른 구조로 된 컴퓨터가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네트워크로 주로 사용된다. 이종망은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로 여러 제품들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표준을 만족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 -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드웨어나 운영체제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회사를 말한다. 특정 하드웨어나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여러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판매업자로서 예전에는 특정 제조업체의 컴퓨터에서만 동작하는 소프트웨어가 일반적이있으나, 개방시스템화의 진전에 따라 특정 컴퓨터 제조업체에 의존하지 않는 ISV가 나타나게 되었다.
- Middleware 미들웨어 - 각기 분리된 두 개의 시스템인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 또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조정 및 중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웹 서버 간 연결을 최적화하여 부하 분산, 트랜잭션 처리, 보안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의 대표적인 기능은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이 다른 데이터베이스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미들웨어가 이용되는 경우를 보면, 데이터베이스와 웹 서버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웹 브라우저에 양식을 띄워놓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찾아올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의 요청 내용에 따라 다이내믹한 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 SIS 전략 정보 시스템 -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이용하는 정시 시스템
-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 정보 시스템을 고객과의 계약에 의하여 기획에서 시스템의 구축, 운용까지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 IT와 관련된 수많은 요소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함계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스템 통합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정보 시스템의 기획, 입안에서 설계와 구축, 운용과 보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 IEEE 802.11 - IEEE 작업그룹이 무선 LAN(WLAN) 기술에서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작업 그룹에서 개발한 일단의 규격으로 현재 802.11, 802.11a, 802.11b, 그리고 802.11g 등 네 가지 규격이 이들 모두 경로 공유 프로토콜로서 반송파 동시 공동 이용/충돌 예방(CSMA/CA)의 용도를 기술하고 사용한다. 802.11과 802.11b는 무선 이더넷 LAN에 적용되고 802.11b 표준이 초당 약 11MBps의 속도를 제공하는데 비해, 가장 최근에 승인된 표준인 802.11g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지만, 최고 54Mbps까지의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802.11a는 무선 비동기 전송 방식(ATM) 시스템에 적용되고 5GHz와 6GHz 사이의 주파수에서 운용되며 변조 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방식을 사용한다. 802.11g도 802.11b와 같이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둘 간에는 서로 호환성이 있다.
- IEEE 802.11b -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1997년에 정한 무선 LAN 규격인 IEEE 802.11의 차세대 규격으로 2.4GHz대의 전파를 사용한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IEEE 802.11에서는 최고 2Mbps 였으나 IEEE 802.11b에서는 11Mbps까지 올렸으며 IEEE 802.11과도 호환성이 있다. 다른 802.11 표준들과 마찬가지로 802.11b 역시 이더넷 프로토콜로 경로 공유를 위해서는 CSMA/CA를 사용한다.
-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조합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제일의 세계적인 조직체이다. 과거에는 CCITT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두를 두고 있다.
- CCITT - 전기 통신 업무의 기술, 운용 및 요금 문제를 연구하여 그 결론을 권고로 공표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상설 기관
- H.323 -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데이터를 TCP/IP와 같은 패킷교환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ITU-T의표준으로 1996년에 ITU-T가권고했으며 대응 통신망은 이더넷, 100M 이더넷, FDDI(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 토큰 고리형 망이다. 파일 전송, 화이트보드 등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채널도 규정하고 있으며, 인터넷 전화 서비스나 제품에 널리 채용되어 있다. 여기에는 고품질 비디오를 위한 LAN 표준, 그리고 28.8Kbps 정도의 느린 회선을 통해 저주파수 대역의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Tablet - 대화형 그래픽에서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 그래픽 도면 태블릿은 새로운 이미지를 스케치하거나 이전의 이미지를 트레이싱 하는데 사용된다. 동작원리는 핸드 커서가 그 위를 움직임에 따라 그 위치가 컴퓨터에 전달된다. 사용자는 코드나 무선으로 연결된 펜 또는 퍽(puck)을 이용하여 그 위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데 이용된다. 키보드를 병용함에 따라 선의 종류, 색이나 굵기까지도 입력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펜이나 퍽으로 그림을 그리면 화면 커서가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그린다.
- UTF(Universal Transformation Format) - 16 비트 유니코드 문자들을 7 비트 혹은 8 비트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이다. UTF-7은 7 비트 메일 시스템을 통한 전송을 위해 7 비트 아스키 문자로 변경하는 것이고, UTF-8은 유니코드를 8 비트 문자로 변경하는 것이다.
- ITV(Interactive TV) : 대화형 텔레비전 - 시청자의 의사가 반영되는 텔레비전으로 시청자가 단지 채널이나 음량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조작 등을 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TV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TV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질문에 답을 해 주는 교육 프로그램, 시청자가 의뢰하면 복잡한 문제의 배경까지 설명해 주는 뉴스 프로그램, 게임을 하거나 투표를 하고 홈뱅킹이나 홈쇼핑 등과 같이 접속된 TV를 통해 시청자의 반응이나 의견을 즉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 H.264 - 그 동안 사용되어 온 압축 알고리즘에 비해 대단히 큰 압축 효율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기존 대역폭의 절반 정도에서 같은 정도의 화질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H.264는 고성능 레벨에서 상호 연동을 증진시키는 등의 중요한 개선점과 강력한 에러 복구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못할 때에도 화상회의가 계속될 수 있도록해준다. H.264 표준은 기존의 MPEG-4 ASP보다 두 배정도 더 많은 압축률과 보다 개선된 인식 품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넷 접속을 통해 동작을 완벽하게 재생하는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Set-Top Box 셋톱박스 - TV를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주는 장치이다. 또한 TV위에 놓이는 박스라는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보내는 디지털 신호 정보를 받아 음성 및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지상파, 케이블, 위성등의 방송신호화 초고속 통신이나 전화망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셋톱박스는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특별한 컴퓨터로서 웹브라우저와 TCP/IP 등의 프로토콜도 가지고 있다.
- HomeRF(Home Radio Frequency) - 가전제품, 컴퓨터, 통신, 반도체,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결성한 그룹인 동시에, 가정 내 환경에서 컴퓨터, 전화, 텔레비전, 오디오 기기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무선 가정용 네트워킹이다. HomeRF는 최장 45m 거리에서 최고 1.6 Mbps까지의 속도를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호핑 기술을 사용한다. HomeRF는 가정용 무선 네트워크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 경쟁하는 두 가지 표준 중 하나이다.
- 주파수 호핑 - 전송 신호를 한 중심 주파수에서 다른 중심 주파수로 도약시켜 주파수 스펙트럼이 확산되게 하는 것
-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 - 컴퓨터와 주변 장치 또는 데이터 단말 장치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컴퓨터들과 관련 장치들 간에 비교적 느린 속도의 직렬 데이터 통신을 위기 위한 물리적 연결과 프로토콜에 관해 기술하고 있는 오래된 표준이다. 1969년 미국 전자공학협회에서 제정한 통신 인터페이스 규약의 하나로 프린터, 모뎀 등 각종 주변장치를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RS-232C는 컴퓨터가 모뎀과 같은 다른 직렬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 내에 있는 데이터는 병렬회로로 따라 흐르지만 직렬장치들은 오직 한 번에 한 비트씩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UART 칩이 병렬로 되어 있는 비트들을 직렬 비트 열로 변환시킨다.
- UART - 컴퓨터의 비동기 직렬 통신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의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 Stylus 스타일러스 -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입력 장치이다. 전자 감응식 태블릿에 스타일러스가 부착된 CAD/CAM과 같은 그래픽 분야의 워크스테이션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현재 작성한 입력 내용을 받아들이는 대부분의 포켓용 컴퓨터들에서 데이터 작성에 사용되는 도구를 스타일러스 또는 펜이라고 부른다.
- RAS(Remote Access Server 원격접속서버 - 원격접속이란 원격지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된 통신 서버 관련 소프트웨어로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기능이다. 기업에서는 지사에 있는 사람들이나 재택근무자, 출장 중인 사람들이 회사의 네트웨크에 접속할 수 있고, 가정에서는 인터넷정보제공자(ISP)를 통한 원격 접속이나 과거에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포켓형 컴퓨터의 모뎀과 전화 회선을 통한 다이얼업 접속이 가장 일반적인 접속 방법이었다. 원격접속은 또한 컴퓨터와 원격지 근거리 통신망 그리고 중앙이나 회사의 주 근거리 통신망 등 사이에 전용회선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통신 - 기존 인터넷과 같이 별도의 통신선로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집으로 50~60Hz 주파수의 교류 전기를 공급하는 일반 전력선을 통하여 수백 KHz의 고주파 통신 신호를 함께 보내서 전용접속장비로 고주파 통신신호만을 수신하는 통신기술로써 일반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총칭해서 일컫는다.
- Access PLC - 전력사가 자체 보유한 전력망을 통해서 구성된 네트워크로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간 통신 시스템
- In-Home PLC - 전력사가 보유하지 않은 가정이나 오피스 빌딩내의 전력선과 연결된 각종 장비로 고속 광대역 에이터를 전송하는 댁내 통신 시스템
- Data cell 데이터 셀 - 자성체를 얇은 플라스틱 같은 필름에 발라 자기 필름을 만들어 스트립(Strip)이라 하고, 각각으로 된 스트립을 원통처럼 조립한 것을 데이터 셀(Data cell)이라 한다.
- 회선 교환 방식 - 회선 설정, 데이터 전송, 회선 해제의 단계를 거치는 통신 방식으로 접속이 되기 위해 설정 시간을 필요로 하며,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에도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선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전화망이 있다.
- 패킷 교환 방식 - 데이터를 패킷이라고 부르는 작은 단위로 쪼개서 보내는 방식으로 패킷 형태의 데이터를 패킷교환기가 목적지 주소에 따라 적당한 통신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 MUX(Multiplexer) 멀티플렉서 - 2의 n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를 선택. 2의 n개의 입력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선으로 전달하는 회로로서 OR gate로 구성
- Demultiplexer 디멀티플렉서 - 1개의 입력 정보를 받아 2의 n개의 가능한 입출력 선 중 하나의 정보를 선택. 1개의 입력신호를 가지며, 2의 n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된 회로로서 AND gate로 구성
- BLOB(Binary Large Objec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가변길이 파일 형식으로 최고 2GB가 저장될 수 있다. 대체로 이미지나 사운드 파일과 같은 대형 멀티미디어 객체들로 대용량 파일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소규모의 데이터를 다루는 일반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방법으로 다루어지게 된다.
-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 -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게 됨에 따라 과거 저장될 수 없었던 많은 자료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게 되었다. 그 결과 대규모로 축적된 데이터들을 모두 분석하여 활용하기에는 기존의 방법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분석기법인 데이터마이닝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 DSS(Decision Support System)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사용자들이 의사결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료를 분석해주는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이러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계량화 될 수 없는 주관적인 문제들에 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으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ebXML(electronic bussiness XML) - ebXML은 XML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전자 상거래 당사자들이 안전하게 전자 상거래 정보를 전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기반 표준 구조이다. ebXML은 XML 기반의 메시지 교환을 통해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안전한 비즈니스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ebXML은 HTTP, TCP/IP, MIME, SMTP, FTP, UML 등과 같은 기존의 인터넷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어떠한 종류의 컴퓨터 플랫폼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하기 쉽고 비용도 비교적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 MIME - 텍스트 및 화상이나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이메일로 송신하기 위한 간이 메일 전송 프로토콜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 생산 관리, 판매 관리, 인사 관리, 재무 관리 등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 재구축하여 관련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 및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전사적 자원관리 패키지 시스템이다. 현재 대부분의 ERP 시스템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통합 시스템의 형태로 구축되고 있다.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
- EDM(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전자 문서 관리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 자료 교환
- MDI(Multiple Document Interface) 다중문서 인터페이스
- Anycast - IPv6에서 단일 송신자와 그룹 내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일부 수신자들 사이의 통신을 말한다.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사이의 통신인 멀티캐스트 그리고 단일 송신자와 네트워크 내의 단일 수신자 사이의 통신인 유니캐스트와 대비하여 존재한다. 애니캐스트는 한 호스트가 호스트 그룹을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IPv6는 어떤 게이트웨이 호스트가 가장 가까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마치 유니캐스트 통신인 것처럼 그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수 있다. 그 호스트는 모든 라이팅 테이블이 갱신될 때까지 그룹 내의 다른 호스트에게 차례로 애니캐스트 할 수 있다.
- AS(Autonomous System) 자율시스템 - 인터넷상에서 자율시스템이라 함은 관리적 측면에서 한 단체에 속하여 관리되고 제어되므로써 동일한 라우팅 정책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그룹을 이야기한다. 인터넷 회선 접속 사업자가 상호 접속해서 구성한 인터넷 기간망에서는 자율 시스템끼리의 통신을 어떤 경로를 거쳐서 실현할 것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자율시스템은 때로는 라우팅 도메인으로도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자율시스템 번호, 즉 ASN(Autonomous System Number)을 부여 받아야 한다. 각 AS에서는 AS 내부에서 발신하는 통신이나 근거리 AS가 발신한 통신을 인접한 AS를 거쳐서 실행하는 것을 경로 결정표에 기입해 둔다. 한 자율시스템내에서의 IP 네트워크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IGP를 사용하며, 타 자율시스템과의 라우팅 정보 교환을 위해서는 BGP를 사용한다.
- BGP - 자율시스템의 네트워크 내에서 게이트웨이 호스트끼리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대화식 음성 응답 - 음성전화 입력과 터치톤 전화기의 단추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것들의 조합을 받아들여서 음성, 팩스, 콜백, 전자우편, 기타 매체의 형태로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Multicast - 인터넷의 전송 방식은 전송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 관점에서 나누어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로 구분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다른 하나의 수신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이 모두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 반면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하나 이상의 송신자들이 특정한 하나 이상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화상 회의등의 응용에서 사용한다.
- NBMA(Non-Broadcast Multiple Access) - OSPF 통신 프로토콜의 4가지 네트워크 형식 중 하나이다. NBMA는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고유의 기능을 갖지 않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 내에서 X.25와 프레임 릴레이 환경을 정확하게 본뜨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른 OSPF 네트워크 형식으로는 브로드캐스트, 점대점, 점대다점 등이 있다. X.25와 같이 방송을 지원하지 않거나 너무 큰 스위치형 멀티 메가 바이트 데이터 서비스 방송그룹이나 ATM 확장 이더넷과 같이 방송을 구현할 수 없는 멀티액세스 네트워크를 말한다.
- NSP(Network Service Provider)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 - 대부분의 웹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들에게 백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ISP는 인터넷 연동을 통해 지역적인 ISP들에게 접속하며 이는 다시 NSP 백본에 순차적으로 접속된다. 활용 측면에서 보면 ISP는 전자우편, 웹메일, 웹호스팅, 채팅, 토론그룹 그리고 최종사용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서비스를 NSP로 부터 구입하여 자기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유즈넷 뉴스그룹 상에 올려진 글들을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들에 의해 사용되는 주된 프로토콜로 NNTP는 원래 유즈넷 프로토콜이었던 UUCP를 대체한 것이다. NNCP 서버는 수집된 유즈넷 뉴스그룹들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버를 전체의 일부로서 포함시킨다.
-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서비스 지향 구조 - 기업의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와 컴포넌트 중심으로 묶는 정보 기술로 하나의 실체가 다른 하나의 실체를 대신해 단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컴퓨터 실체가 상호작용 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이 단위 작업을 "서비스"라고 지칭되며 이 서비스 상호작용들은 서술 언어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각 상호작용은 독립적이며 느슨한 결합을 가지므로 각 상호작용은 어떠한 상호작용으로부터도 독립적이다.
- RSS(RDF Site Summary) -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로 RSS는 W3C의 RDF를 고수하는 XML의 한 응용 형태로서 원래 네스케이프가 자사의 넷센터 채널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하였으나 이제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 되었다. 특히 뉴스 헤드라인이나 소설 등 자신의 콘텐츠 일부를 제공하려는 웹 사이트는 콘텐츠의 내용과 특히 콘텐츠가 사이트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지 등을 RSS 문서 형식으로 만든 후 자신의 RSS 문서를 RSS 제공자 목록 중 어느 한곳에 등록하면 된다.
-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무선 LAN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기법으로 동일한 키(key)와 알고리즘을 사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하는 대칭키 알고리즘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암호화 기법의 보안 프로토콜이다. 유선 랜은 일반적으로 빌딩에 출입하는 것을 통제하는 것과 같이 물리적 보안 절차에 의해 보호될 수 있지만, 무선 랜의 경우에는 특정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무선 파장이 벽체에 의해 한계 지어지지 않으므로 이러한 보안 방식은 유효하지 않다. WEP은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보안 대책에서 제공되는 것과 비슷한 방호를 제정하는 것을 추구한다.
- POS(Point Of Sale) - 판매와 관련된 데이터를 물품이 판매되는 그 시간과 장소에서 즉시 취득하는 것이다. POS 시스템은 상품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읽어들이는 바로 그 시점에 재고량이 조정되고, 신용조회 등 판매와 관련되어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 한번에 모두 이루어지는 시스템
- EFT(Electronic Funds Transfer) 전자자금이체 - 한 은행계좌에서 다른 계좌로 자금을 직접 전송하는 시스템
- CALS(Commerce At Light Speed) 광속 전자상거래 - 주요 장비 또는 다양한 지원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 제작과정과 이를 운영, 유지하는 보급, 조달 등의 과정에서 작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화 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활용함으로써 업무의 과학적 효율적 수행과 신속한 정보 공유 및 전달 체계, 종합적 품질관리를 통한 비용절감을 달성하고자 하는 공동의 전략
- SCM(Supply Chain Management) 유통 총 공급망 관리 - 원재료의 수급에서 고객에게 제품을 전달하는 자원과 정보의 일련의 흐름 전체를 경쟁력 있는 업무의 흐름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이것은 기업 내부의 전사적 자원관리(ERP) 내지 물류관리를 기업 외부와의 공급망 전체로 확장한 것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경영 - 고객 관계 관리를 말하는 것으로 선별된 고객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거나 장기적인 고객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고 장기적인 고객관리를 가능케 하는 솔루션으로 고객과 관련된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통합하여 그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과정
- KMS(Knowle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 시스템 - 조직내의 인적 자원들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 B2E(Business to Employee) 기업 내부 전자상거래
- B2B(Business to Business) 기업간 전자상거래
- B2C(Business to Customer) 기업과 개인간 전자상거래
- C2B(Customer to Business) 개인과 기업간 전자상거래
- B2G(Business to Government) 기업과 정부간 전자상거래
- G2C(Government to Customer) 정부와 개인간 전자상거래
- C2C(Customer to Customer) 개인과 개인간 전자상거래
- Back Door 백도어 - 시스템의 정상적인 보호 수단을 우회할 수 있는 숨겨진 메커니즘으로 시스템의 보안이 제거된 비밀통로로서, 서비스 기술자나 유지보수 프로그래머들의 액세스 편의를 위해 시스템 설계자가 고의적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이러한 허점을 남기게 된 동기에 항상 악의가 있는 것은 아니며, 몇몇 운영체계들은 현장에서 서비스 기술자나 공급사의 유지보수 프로그래머에 의해 사용될 목적으로 제공되는 특수한 계정이 함께 딸려 나오기도 한다.
- Bastion Host 베스천 호스트 - 외부 해커의 공격에 대비해 침입하기가 매우 어렵게 만들어 놓은 호스트로 외부로부터 공격 위험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에 설치하는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웨이다. 보안대책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베스천 호스트는 내부 네트워크를 겨냥한 공격에 대해 방어하도록 설계되어져있다. 네트워크의 복잡도와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단일 베스천 호스트 그 자체로서 방어를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방호 계층과 함께 대형 보안 시스템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 BinHex - 메킨토시에서 2진 파일을 문자 형식으로 변환하였을 때의 파일 형식 또는 BinHex 형식의 변환을 하는 소프트웨어. 인터넷의 이메일이나 넷뉴스에서 화상 파일, 음성 파일 또는 프로그램 파일을 보낼 때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유틸리티이다. BinHex는 8비트 바이너리 또는 비트 스트림으로 표현된 파일들을 텍스트 문자인 7비트 아스키 문자 세트로 변환한다. 수신자는 반대편에서 이것을 다시 복원하여야 한다. 오래된 전자우편 유틸리티들은 때론 바이너리 전송을 처리할 수 없으므로,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메시지가 구형 시스템에도 도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Blowfish - 데이터 암호화 표준(DES)과 국제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IDEA)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이것은 32~488 비트까지 가변적인 길이의 키를 사용하는 대칭 블록을 쓰고 있으므로 미국내 뿐 아니라 수출용으로도 이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CA(Certificate Authority) 인증기관 - 보안 적격 여부 및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공개키의 발급과 관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상의 기관이다. 공개키 기반구조의 일부로서 인증기관은 디지털 인증서 요구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등록기관(RA)과 함께 안전성 등을 검사한다. 만약 등록기관이 요구자의 정보를 입증하면 인증기관은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다. 공개키 기반구조 구현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인증서는 대개 소유자의 공개키, 인증서의 유효기간, 소유자의 이름 및 기타 공개키 소유자에 관한 다른 정보들을 포함한다.
- Cybertext 사이버텍스트 - 평문으로 된 정보를 암호 처리하여 특정인만 이용할 수 있도록 암호화한 문서 암호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결과물이다. 외관상으로는 무작위로 연속되는 기호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어떤 불분명한 형태 내에 원래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만약 암호화된 메시지가 다른 사람들과 공유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전통적인 전화시스템과 같이 쉽게 도청될 수 있는 전송 매체를 통해 보내진다면 다른 사람들은 어떤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다는 사실과 또 그것이 대부분 암호화되었을 것이라는데 대해 쉽게 단정할 수 있다.
- DDoS(Distributed Denial-of-Service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 인터넷상에서 다수의 시스템이 협력하여 하나의 표적시스템을 공격함으로써 DoS를 일으키게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많은 수의 호스트들의 패킷을 범람시킬 수 있는 DoS(Denial of Service) 공격용 프로그램을 분산 설치하여 이들이 서로 통합된 형태로 공격 대상 시스템에 대해 성능 저하 및 시스템 마비를 일으키는 기법을 말한다. 여기서 침입자는 단 한 개의 명령으로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들에게 특정 표적에 수없이 많은 공격 방법 중 하나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그 결과 표적 시스템에는 엄청나게 많은 양의 패킷이 홍수처럼 밀려들어옴으로써 DoS가 유발된다.
-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 - 안전에 취약한 인터넷에서 안전한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나 네트워크 통신의 패킷 처리 계층에서의 보안을 위해 지금도 발전되고 있는 표준이다. 이전의 보안 기법들에서는 보안이 통신 모델의 응용 계층에 삽입되어 있었다. IPSec는 가상 사설망과 사설망에 다이얼업 접속을 통한 원격 사용자 접속의 구현에 유용할 것이다. 특히, IPSec의 커다란 장점은 개별 사용자 컴퓨터의 변경 없이도 보안에 관한 준비가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 PGP(Pretty Good Privacy) -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메일 보안 시스템에서 암호화하고 복호화 하는데 사용되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함으로써 그 메시지가 전달 도중에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암호화된 전자서명을 보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PGP는 프리웨어나 저가의 상용 버전으로 모두 나와 있으며, 개인들과 많은 기업들에 의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비밀보장 프로그램이다.
- PKCS(Public-Key Cryptography System) 공개키 암호작성 시스템 - 인터넷 상에서 안전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련의 공개키 기반 표준 프로토콜이며 산업계 내부에서 사용되는 일련의 비공식 표준 프로토콜이다. 여기에는 RSA 암호화, 패스워드 기반의 암호화, 확장된 인증서 구문법, 그리고 S/MIME을 위한 암호 메시지 구문법, 안전이 보장된 전자우편을 위해 RSA가 제시한 표준 등이 포함된다.
- PKI(Public Key Ifrastructure) 공개키 기반구조 - 공개키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적인 보안 시스템 환경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인터넷과 같이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공중망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잇는 기관에서 부여된 한 쌍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은밀하게 데이터나 자금을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PKI는 한 개인이나 기관을 식별할 수 있는 디지털 인증서와 인증서를 저정했다가 필요할 때 불러다 쓸 수 있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전송계층 보안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SSL을 대신하는 차세대 안전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상에서 통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사용자들 간에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TLS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할 때, 어떠한 메시지에 대해서도 제3자가 엿듣거나 또는 손을 댈 수 없도록 안전하게 지켜준다. TLS는 TLS 레코드 프로토콜과 TLS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의 두 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TLS 레코드 프로토콜은 DES와 같은 일부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접속 보안을 제공한다.
- Trojan Horse 트로이 목마 - 다운받은 프로그램이 트로이 목마와 같은 역할을 하여 파일을 훔치거나 변경함으로써 프로그램에 버그를 가져오는 것으로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란 자기 복사 능력은 없이 고의적인 부작용만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 프로그램은 고의적으로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프로그래머의 실수인 버그와는 다르며, 자기 자신을 다른 파일에 복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컴퓨터 바이러스와 구별된다. 따라서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 때 하드디스크의 파일을 지우지만 다른 프로그램에 복사되지 않으면 이것은 컴퓨터 바이러스가 아니라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WPA(Wi-Fi Protected Access) - Wi-Fi 무선 랜 사용자를 위해 개발된 최신 보안 표준으로 원래의 Wi-Fi 보안 표준인 WEP 보다 개량된 것으로서 조만간 WEP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WPA는 WEP에 비해 보다 정교한 데이터 암호화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 인증이 다소 불충분했던 WEP와는 달리 완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WEP는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가정용으로는 아직도 유용하지만, 대량의 메시지 흐름으로 인해 암호화키가 보다 신속하게 발견될 수 있는 기업용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Worm - 통신망을 통해 자신을 복제하고 전파할 수 있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이것은 다른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특정 컴퓨터에 숨어 있다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 침투해 감염을 시킨다. 추가적으로 웜 바이러스(바이러스 개념을 포함)는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시키고 방해하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다.
- ESN(Electronic Serial Number) 헥사번호 - 휴대전화에는 헥사번호와 일련번호 등 두 가지 고유번호가 있다. 통신사업자는 가입하려는 고객의 전화기에서 이들 두 번호가 일치할 경우 가입을 승인한다. 헥사 번호는 기기 내부 칩에 입력돼 있으며, 일련번호는 단말기의 뒤편에 적혀 있다.
-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 다중접속 - 차세대 디지털 이동 통신 방식의 하나인 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채택한 방식으로 세 가지 무선전화 송신기술 중 하나로서 GSM 또는 그와 비슷한 TDMA와는 전혀 다른 접근방식이다. 미국 퀄컴사에서 북미의 디지털 셀룰러 전화의 표준 방식으로 대역폭 1.25MHz의 CDMA 방식을 제안, 1993년 7월 미국전자공업협회(TIA)의 자율 표준 IS-95로 제정되었다. CDMA는 데이터를 디지털화한 다음 그것을 가용한 전체 대역폭에 걸쳐 확산시키는 것으로 여러 통화가 하나의 채널에 겹쳐지게 되며 각 통화는 차례를 나타내는 고유한 코드가 부여되는 기술이다.
-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 시속 200km 이상으로 달리는 차 안에서도 음악, 문자, 데이터,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고품질 방송 서비스로 정의된다. 현재, 미국, EU, 캐나다 등 외국에서는 고품질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의미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라는 용어와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2002년 말 정보통신부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이 서비스에 대해 동영상 서비스까지를 포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용어로 통일해 사용키로 하면서 DMB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정부는 세계 최초로 DMB 서비스에 성공하여 CDMA에 이은 우리나라 수출 주력상품으로 육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 GPS(Global Positioing System) 위성 위치확인시스템
- UMT(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WB(Utra Wdeband) 초광대역
-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분할다중접속 - 무선 셀룰러 통신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30개의 채널로 분할한 것이며, 각 채널은 음성대화나 디지털 데이터를 옮기는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FDMA는 북미에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셀룰러폰 시스템인 아날로그 AMPS의 기본 기술이다. FDMA에서는 각 채널이 한번에 오직 단 한 명의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으며 FDMA는 TACS(To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공간분할다중접속 - 여러 개의 지역별 스폿 빔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구국으로부터 신호를 위성 내에서 다중화하는 다중 접속의 한 방식으로 접시 안테나의 지향 특성을 장점으로 취함으로써 전파 스펙트럼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비용을 최소화하는 위성통신방식이다. 특히, SDMA에서 위성 접시 안테나들은 지표면 상 다수의 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이 안테나들은 지향성이 강하고 지표면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중복 주파수를 허용한다.
- OFDM(Orthogonal FDM) 직교주파수분할다중 - 대역폭 당 전송 속도의 향상과 멀티패스 간섭 등의 방지를 위한 디지털 변조방식으로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용으로 개발되어 1996년부터 상용 방송이 개시되었다. 유럽, 일본 및 호주의 디지털 TV 표준으로 채택될 것으로 기대되는 변조기술이다. 이것은 1990년 초에 무선 랜 기술로서 처음 장려된 적이 있고, OFDM의 대역확산 기술은 정확한 주파수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있는 많은 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분산시킨다. 바로 이 간격이 복조기가 자기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주파수를 참조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내에서 "직교성"을 제공한다.
- Handoff 핸드오프, 통화 채널 전환 - 이동전화 가입자가 한 무선 구역에서 다른 무선 구역으로 이동해 갈 때, 현 통화 채널을 다른 무선 구역의 통화 채널로 자동적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통화가 계속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 즉 AMPS에서의 통화 채널 전환 방법은 통화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측정하여 규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 기지국이 교환기에 경보 신호를 주고 교환기는 미리 지정된 근접그룹 목록상의 가용 채널을 찾아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 LBS(Location-Based Services) 위치기반서비스 - 이동 통신망과 정보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정보기반의 시스템 서비스로 어떤 정보 기기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이다. LBS는 어떤 네트워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여러 기술들을 활용한다. 그 중 하나가 원래 미국 국방부를 위해 개발된 24개의 나브스타 위성들을 이용한 GPS이다. 이 위성들을 이용하면 지상 50~100m 내의 범위에 있는 GPS 수신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LBS를 이용하려면 각각의 사용자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WiBro(Wreless Boadband) 와이브로 - 2.3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시속 60km 이상의 이동성과 1Mbps급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가리킨다. 와이브로의 전파 전달 거리는 최대 48km에 달함으로써, 핫스팟이라는 서비스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무선 랜 Wi-Fi 보다 서비스 반경이 10배 이상 넓다. 한국 기업들이 중심이 되어 개발한 와이브로 기술 표준 HPi(Highspeed Portable Internet)는 IEEE가 최근 승인한 차세대 무선 광대역 전송기술 표준 IEEE 802.16e에 부합되는 국제기술표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