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8/2009

절차탁마(切磋琢磨)

** 절차탁마(切磋琢磨)


- 절차탁마(切磋琢磨) : 옥을 갈아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처럼, 내 몸을 연마하여 도덕적 인격을 완성한다는 의미

- 자공(子貢) : 성이 단목(端木), 이름이 사(賜). 위나라 사람. 31세 연하. 공자 학단 초기부터 줄곧 같이 있었던 대제자. 탁월한 외교관이며 큰 부자였다.

- 차뿌뚜어 : 중국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매우 광범하게 쓰는 말로 " 그저 그렇다"(so so)는 의미

- 최영애(崔玲愛) : 중국 산동성 제남(齊南)에서 태어났다. 대만대학에서 외국인으로 처음 중국언어학 방면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연세대학교 중문과 교수

- 시경 : 풍(風) - (각 나라의 민요, 15개국의 노래. 160수), 아(雅) - (귀족의 노래, 대아(大雅), 소아(小雅). 105수), 송(頌) - (종묘제례악, 주송(周頌), 노송(魯頌), 상송(商頌). 40수)

- 음시(淫時) : 주자가 "음탕한 노래"라고 비하시켜 한 말이지만, 오히려 이 말은 주자가 『시경』을 바르게 인식했음을 나타내준다.

- 서진(西晉, 265 ~ 316) : 사마염(司馬炎)이 위(魏)를 선양받아 세운 나라. 낙양(洛陽)이 그 수도.

- 반악(潘岳, 247 ~ 300) : 시부(時賦)에 능했던 서진의 명인.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소문났고 미모가 출중했다.

- 좌사(左思, 250 ~ 305) : 서진의 대문호. 제나라 임치의 사람. 희대의 베스트샐러 『삼도부』(三都賦)의 저자. 그러나 추남이었다.

- 낙양지귀(洛陽紙貴) : 사람들이 다투어 좌사의 『삼도부』를 종이에 베꼈기 때문에 낙양의 종이값이 폭등했다. 채륜이 종이를 발명한지 200년도 안되는 시기의 실제 사건이었다.

- 『세설신어』(世設新語) : 유송의 황족인 유의경(劉義慶, 403 ~ 444)이 지은 위진남북조의 대표적 지인소설(志人小說). 연세대 중문과 김장환(金長煥)교수의 우리말 완역본이 있다.

- 소남(召南) : 국풍(國風)의 두째번 나라. 주나라 소공(召公)이 다스린 지역의 노래로 알려짐.

- 기오(淇奧) : 『시경』의 노래 제목은 모두 그 노래의 첫행에서 따왔다. 『논어』의 편명이 이 예를 따른 것이다.

- 군자(君子) : 『시경』에서 이 말은 여자가 남편이나 애인을 부르는 단순한 호칭이며 후대의 "도덕군자"라고 하는 의미가 전혀 내포되어 있질 않다.

- 『시경』에서 무가(水)와 봄(春)은 예외없이 연시의 모티프이며 성적 함의(sexual implication)가 있다.

- 공자와 자공 사이에서 기오(淇奧)노래가 이해된 구조는 이미 도덕적 왜곡을 거친 후의 해석일 뿐이다.

중용(中庸)의 세계

** 중용(中庸)의 세계


- 『論語』『孟子』『大學』『中庸』을 사서(四書)라고 부른다. 『대학』과 『중용』은 『예기』의 두편이었다.

- 공자(BC 551 ~ 479)의 노(魯)나라 <----(50리 거리)---- 맹자(BC 372 ~ 289)의 추(鄒)나라

- 패도(覇道) <-> 왕도(王道)

- I affirm that the just (to dikaion) is nothing else than the advantage of the stronger. (정의는 강자의 편익일 뿐이다.) - 트라시마고스(플라톤의 『국가론』338c

- 패도 시대의 특징은 인재등용이 활발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자백가(諸子百家)가 꽃을 피웠다.

- 양혜왕(梁惠王) :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를 스승으로 모신 위문후(魏文侯)의 손자. 위나라가 진나라에게 패하여 대량(大梁)으로 천도했기 때문에 양혜왕이라 부를 뿐이다. 양혜왕은 위나라 군주이다.

- 예수와 사도바울의 관계와 공자와 맹자의 관계는 매우 유사하다.

- 공자(至聖, 지성) -- 맹자(亞聖, 아성)

- 양주(楊朱) : 맹자시대에 유행한 도가계열의 사상가. 극단적 개인주의와 불간섭주의를 주장했다.

- 묵자(墨子) : 공자 사후에 활약하여 용병집단을 이룬 대사상가. 송(宋)나라 사람. 겸애(兼愛)를 주창하여 반전사상을 폈고, 절장(節葬)등 검약주의를 실천하였다.

- 맹자의 사상은 양주와 묵자의 변증법적 지양(Aufheben)이다.

- 전쟁(War)은 빠르게 노동력을 확보하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다.

- 모든 군주들의 관심은 자국으로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사람들을 이주시키는데 있었다. 개간할 땅은 얼마든지 있었다.

- 『대학』(大學)은 옛날의 고등교육기관을 운영하는 바탕이 된 이념서였다. 그것은 유교의 교육철학의 정화다.

- 『중용』제1장은 33장의 내용을 포괄하는 개론적 서막이다. 『노자』제1장도 81장의 내용을 함축한다.

- 나의 본성은 하늘이 끊임없이 명령하는 것이다. 나의 본성(性)을 따르는 것이 나의 길(道)이다. 나의 길(道)을 끊임없이 닦는 것이 나의 배움(敎)이다.

- 나의 실존의 본성은 단독자(Existenz vor dem Gott)로서 신과 대면하는 것이다. - 키에르케고르 (1813 ~ 1855)

- 敎(후천)Nurture - 道(중간자적)길 - 性(선천)Nature

- 도(道)는 성(性, Nature)과 교(敎, Civilization)를 연결하는 인간의 길이며, 곧 중용이다.

- 서양인(기독교인)은 역사의 목표를 역사 밖에 설정한다. 그러나 동양인은 역사의 목표를 역사 안에 설정한다. 그것이 곧 중용의 역사다.

- 적자지심(赤子之心) : 감정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어린아기의 마음 (동양의 中)

- 中(가능태) Potentiality -> 和(현실태) Reality

- 동양의 조화사상은 우리 현실의 부조화의 깊은 통찰에서 나온 사상이다. 표면적인 그럴싸한 조화가 아니다. - 도올

8/27/2009

불혹(不惑) 지천명(知天命)의 참뜻

** 불혹(不惑) 지천명(知天命)의 참뜻


- 성문법(written law) : 문자로 표현되고 문서의 형식을 갖춘 법

- 불문법(unwritten law) : 문자로 표현되고 권력자에 의해 일정한 절차에 따라 제정된 법 이외의 모든 법. 관례법과 관습법이 가장 중요하다.

- 예형병용(禮刑倂用) : 초기 유가는 예치(덕치)를 주장 했지만 후기 유가는 엄형의 법치를 아울러 주장했다. 순자가 그 대표적 예이다.

- 소정묘(少正卯)의 주살 : 공자가 수상이 된지 7일만에 노나라 대부 소정묘를 사형시킨 사건.

- 매쉬(MASH) : 육군이동외과병원의 약자인데 동시에 엉망진창이라는 의미가 있다.

- 공자의 생애회고담은 삶의 굽이굽이에 대한 보편적 원칙만을 말했을 뿐 구질구질한 사건의 기술이 없다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

- 十有五。 = 10 + 5 : 유(有)는 "또"를 의미하는 우(又)와 같다.

- 공자세가(孔子世家) : 사마천(BC 145 ~ 87)이 쓴 『사기』의 제 47권으로 공자의 일생을 기록한 대표적 정사. 『신약성서』의 복음서에 해당된다.

- 양호(陽虎) : 『논어』에는 양화(陽貨)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공자 필생의 숙적이며 라이벌이었다. 탁월한 지식인이요. 정치적 지략가였고, 한때 노나라를 지배했다.

- 이상은(李相殷, 1905 ~ 1976) : 함남 정평출신으로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혔고 1925년 북경대학 철학과에 정식입학. 모종삼(牟宗三)과 같은 당대의 중국수재들과 어깨를 겨루었다. 3·15부정선거를 규탄하는 교수단 시위에 앞장서기도 한 선비.

- 청춘의 특질은 좌절이다. 그러나 이러한 곤경의 좌절감을 반드시 배움에 대하여 뜻을 세우는 것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 三十而立。 : 입(立)의 갑골문자 자형은 사람이 두발로 대지 위에 우뚝 서 있는 모습이다.

- 四十而不或。 : 마흔 살에는 미혹됨이 없었다.

- 불혹(不或) : 공자의 삶에 있어서는 인본주의 합리성의 정립을 의미했다. 이것은 주관의 원리로서 다음의 객관원리인 천명(天命)과 대조된다.

- 철학은 무전제의 사유로부터 비로소 출발한다.

- 五十而知天命。

- 天命之謂性。 : 『중용』제1장

- Act only according to that maxim by which you can at the same time will that it should become a universal law. (네 의지의 준칙이 항상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행위하라.) - 임마누엘 칸트

- 六十而耳順。

- 知之之至, 不思而得也 : 앎이 지극하여져서 생각하지 않아도 깨달아지는 것이다. - 주자

- 이순(耳順)은 우리말의 "귀가 순해진다"라는 상식적 함의대로,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의 문제로 귀속되는 것이다.

- 유학은 성인이 되기 위한 배움(爲聖之學)이다. 성인의 최후의 길은 감정을 다스리는 일이다.

-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규구(規矩) : 콤파스와 곱자. 세상을 다스리는 기준이라는 의미. 중국의 창조설화도에도 규구로 세상을 창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자유는 무제약적일 수 없다. 자유는 타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 자유는 사회적 규율에 대한 자발적 의지의 문제이다.

- 빌레(Wille) : 의지

- 모랄리쉐 게제츠(moralische Gesetz) : 도덕률

- 도덕률에 의지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성(聖)의 경지이며 이 경지는 감관계에 있는 어떠한 이성적 존재도 생전에 달성할 수 없는 완전성이다. -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 영혼의 불멸(die Unsterblichkeit derSeele)은 인간의 선의지의 무한한 지속을 위한 실천이성의 요청이다. - 칸트

- 덕과 행복의 일치를 위해 우리의 실천이성은 하나님의 생존을 요청한다. 이 요청은 도덕적 필연성이다. - 칸트

- 의무로부터(aus Pflicht) : 이 말은 칸트 도덕형이상학의 핵심적 개념어다. 인간의 행위는 행복의 결과를 전제로 하지 않고 순수한 의무로부터 절대적으로 이루어 질 때만이 도덕적이다.

- 하나님은 존재(Being)의 대상이 아니라 요청(Postulation)의 대상이다. 요청이야말로 하나님의 존재를 더 지고하게 만드는 것이다.

- 칸트가 전제하는 인간은 선험론적 인간(Transcendental Man)이며, 공자가 전제하는 인간은 생성론적 인간(Man of Becoming)이다.

사랑이란

** 사랑이란


- 정강지변(靖康之變) : 북송이 금(金)나라에게 멸망한 사건. 1126년 정강 원년, 금군(金軍)은 수도 개봉(開封)을 함락하고, 1127년에 휘종, 흠종 이하 3천명을 포로로 하였다. 흠종의 동생 고종이 남경에서 즉위, 남송을 세웠다.

- 주자는 북송의 고토를 무력으로 회복하자는 주전파(主戰派)의 강렬한 이념을 소유한 사람이었다. 그의 주리론(主理論)도 이러한 주전파 이데올로기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주자는 사서 중에서도 『대학』이 가장 중요한 책이라 생각했다. 주자철학은 『대학』중심 철학이다.

- 『대학』: 대강을 확립, 『논어』: 근본을 세움, 『맹자』: 이상을 배움, 『중용』: 오묘한 철리를 깨달음

- 爲政以德 : 정치를 하되 덕으로써 한다.

- 덕치(德治) : 유가의 정치이상

- 법치(法治) : 법가의 정치이상

- 비여(譬如) : 비유하자면 ...과 같다.

- 북신(北辰) : 북극성. 천체 별자리의 중심이 되는 별

- Dipper : 서양사람들이 북두칠성을 부르는 말. 물을 퍼내는 용기의 뜻. 국자. 똥바가지.

- 共之 = 拱之 : 공수하여 고개숙이고 절한다. - 정현의 고주

- 자기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모든 것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이 곧 유가의 덕(德)이며, 이러한 힘의 정치가 덕치(德治)이다.

- 성인의 다스림은 함이 없음(무위)을 실천한다. 그리하면 다스려지지 아니함이 없다. - 노자

- 다산(茶山)은 도가의 무위와 관련시켜 해석하는 모든 주석을 배격한다. 그러나 그것은 헛수고일 뿐이다. 공자시대에는 유가와 도가의 구분이 없었다.

- 군주는 마음을 비우고 고요하게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자기를 어둠에 감추어 신하의 결점을 드러낸다. - 『한비자』

- 유가의 무위 : 덕치

- 법가의 무위 : 군주의 술수

- 도가의 무위 : 자연주의적 세계관

- 병가의 무위 : 전술전략적 허실의 운용

- 오늘의 27편의 『신약성서』는 AD 4세기에나 정경의 권위를 획득한 것이다.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293 ~ 373)가 편집한 체계다. 그 이전에는 정경과 외경의 구분이 없었다.

- 6경 : 시(詩)·서(書)·예(禮)·악(樂)·역(易)·춘추(春秋)

- 십삼경(十三經) 중에서 공자시대에 존재했던 가장 확실한 문헌은 『시경』단 하나뿐이다.

- 시(노래)는 공자와 그의 학단(孔門)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시·서를 인용하는 학파는 모두 공자계열에 속한다.

- 『시경』노래 중의 "思"는 그냥 글자 수를 맞추기 위한 허사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 공자는 노래(예술)의 본질을 꿰뚫었다. 노래는 사랑이고, 사랑은 생각이고, 생각하는 순간처럼 사특함이 없는 순수함은 없다고 간파한 것이다.

- 제(齊) : 가지런히 한다. 질서있게 만든다.

- 중재(arbitration) : 정상적 법정절차 외에서 쌍방 간의 합의에 의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적법적 방법

- 인간세의 질서는 선의지(ein guter Wille)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욕망과 자의(Willkur)의 조절로만은 달성될 수 없다. - 임마누엘 칸트

- 유교의 문화는 "수치를 아는 문화" 이다.

8/26/2009

大學은 왜 가는가?

** 大學은 왜 가는가?


- 『大學』은 옛날 대학이라는 교육기관의 교육철학강령을 말한 책이다. 그 성립 시기를 타케우찌는 한무제 때 동중서의 건의로 태학이 성립했을 시기로 보았다.

- 대학 제1장은 공자의 말을 증자가 받아 쓴 경(經)이고 그 나머지 열장은 증자의 해설을 제자들이 받아쓴 전(傳)이라는 것은 주자의 설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학』은 맹자·순자 이후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 삼강령(三綱領) : 주자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만들면서 사용한 말. 대학이념의 근간을 이루는 세 개의 벼리.

- 팔조목(八條目) : 3강령을 풀어낸 8개의 조목.

- 대학은 단순히 후천적 지식을 습득하는 장소가 아니다. 지식을 흡수하는 감성적 수용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대학의 사명이다.

- 명(明) : 타동사. 밝게 한다. (to illustrate, to brighten)

- 명덕(明德) : 밝은 덕. 이때의 명(明)은 형용사(bright)

- 在親(新)民 : 왕양명(1427 ~ 1528)은 친민(親民)의 해석을 고집하였고, 주자(1130 ~ 1200)는 신민(新民)이라는 의미로 새롭게 해석했다. 이 구절에 관한 한 왕양명의 해석이 더 고루하고 보수적이다.

- 명명덕(明明德) : 내면적 성찰(正)

- 신민(新民) : 외면적 관계(反)

- 至善(合)

- 친민(親民) : 백성을 친하게 한다. 왕양명

- 신민(新民) : 백성을 새롭게 한다. 주자

-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 은나라의 시조 탕왕의 청동세수대야에 새겨져 있었던 명문(銘文)

-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로마서』12:2

- 在止於至善 : (대학의 길은) 지극한 선함에 이르는 데 있다.

- 인간 : 양지양능(良知良能)을 타고난 존재(양명) , 사단지리(四端之理)를 구유한 존재(주자)

-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 ~ 1804) : 근대 서구계몽주의를 완성한 독일의 대철학자. 실천이성(도덕이성)이 순수이성(과학이성)에 우선한다고 보았다.

- 선의지(ein guter Wille) : 우리 보통 사람의 상식적인 도덕감정을 지배하는 가치판단의 체계. 이 선의지는 무조건적으로 전제되는 것이며 인간 세상의 모든 질서의 출발이다. - 칸트

- 선의지를 맹자는 인간에게 고유한 선천적인 것이라고 전제하지만, 칸트는 그것을 실천이성에 의하여 요청(Postulat)한다.

- 천리(天理) : 『대학』이 말하는 지선(至善)을 바꾸어 이른 말. 인간의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선험적 도덕성

-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 :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버린다. - 주자학의 대명제

- 본(本) : 명덕(明德), 말(末) : 신민(新民)

- 시(始) : 지지(知止), 종(終) : 능득(能得)

- 8조목 : 平天下 -> 治國 -> 濟家 -> 修身 -> 正心 -> 誠意 -> 致知 -> 格物

- 平天下 -(外)-> 修身 <-(內)- 格物

- 가정윤리와 사회윤리는 하나로 통한다. 이것을 단절한 상태에서 사회국가 윤리만을 독립적으로 논하는 서양의 사회과학은 엉터리 학문(pseudo-science)이다.

- 주자학의 격물은 객관적 사물의 이치를 철저히 탐구하는 과정이며, 과학적 태도에 기초하고 있다. 양명학은 이를 반대하여 격물을 선험적 양지(良知)의 깨달음으로 간주한다.

- 문화인은 지식의 축적태가 아니다. 문화인은 반드시 아름다움과 인간적 느낌에 대한 감수성이 있어야 한다.

- The Stage of Romance : 낭만의 단계(자유) : 초등학교

- The Stage of Precision : 정확성의 단계(규율) : 중·고등학교

- The Stage of Generalization : 일반화의 단계(자유) : 대학교

- 낭만(Romance)은 연결이 되지 않는 미지의 세계에서 발생하는 느낌이다.

- 교육은 자유와 규율의 리듬이다.

- 자유와 규율은 교육의 본질적 양면이다. - 화이트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