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中庸)의 세계
** 중용(中庸)의 세계
- 『論語』『孟子』『大學』『中庸』을 사서(四書)라고 부른다. 『대학』과 『중용』은 『예기』의 두편이었다.
- 공자(BC 551 ~ 479)의 노(魯)나라 <----(50리 거리)---- 맹자(BC 372 ~ 289)의 추(鄒)나라
- 패도(覇道) <-> 왕도(王道)
- I affirm that the just (to dikaion) is nothing else than the advantage of the stronger. (정의는 강자의 편익일 뿐이다.) - 트라시마고스(플라톤의 『국가론』338c
- 패도 시대의 특징은 인재등용이 활발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자백가(諸子百家)가 꽃을 피웠다.
- 양혜왕(梁惠王) :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를 스승으로 모신 위문후(魏文侯)의 손자. 위나라가 진나라에게 패하여 대량(大梁)으로 천도했기 때문에 양혜왕이라 부를 뿐이다. 양혜왕은 위나라 군주이다.
- 예수와 사도바울의 관계와 공자와 맹자의 관계는 매우 유사하다.
- 공자(至聖, 지성) -- 맹자(亞聖, 아성)
- 양주(楊朱) : 맹자시대에 유행한 도가계열의 사상가. 극단적 개인주의와 불간섭주의를 주장했다.
- 묵자(墨子) : 공자 사후에 활약하여 용병집단을 이룬 대사상가. 송(宋)나라 사람. 겸애(兼愛)를 주창하여 반전사상을 폈고, 절장(節葬)등 검약주의를 실천하였다.
- 맹자의 사상은 양주와 묵자의 변증법적 지양(Aufheben)이다.
- 전쟁(War)은 빠르게 노동력을 확보하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다.
- 모든 군주들의 관심은 자국으로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사람들을 이주시키는데 있었다. 개간할 땅은 얼마든지 있었다.
- 『대학』(大學)은 옛날의 고등교육기관을 운영하는 바탕이 된 이념서였다. 그것은 유교의 교육철학의 정화다.
- 『중용』제1장은 33장의 내용을 포괄하는 개론적 서막이다. 『노자』제1장도 81장의 내용을 함축한다.
- 나의 본성은 하늘이 끊임없이 명령하는 것이다. 나의 본성(性)을 따르는 것이 나의 길(道)이다. 나의 길(道)을 끊임없이 닦는 것이 나의 배움(敎)이다.
- 나의 실존의 본성은 단독자(Existenz vor dem Gott)로서 신과 대면하는 것이다. - 키에르케고르 (1813 ~ 1855)
- 敎(후천)Nurture - 道(중간자적)길 - 性(선천)Nature
- 도(道)는 성(性, Nature)과 교(敎, Civilization)를 연결하는 인간의 길이며, 곧 중용이다.
- 서양인(기독교인)은 역사의 목표를 역사 밖에 설정한다. 그러나 동양인은 역사의 목표를 역사 안에 설정한다. 그것이 곧 중용의 역사다.
- 적자지심(赤子之心) : 감정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어린아기의 마음 (동양의 中)
- 中(가능태) Potentiality -> 和(현실태) Reality
- 동양의 조화사상은 우리 현실의 부조화의 깊은 통찰에서 나온 사상이다. 표면적인 그럴싸한 조화가 아니다. - 도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