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2009

진리와 아름다움

** 진리와 아름다움


- Platonic Dualism : 플라톤의 2원론. 현상과 실재의 분리.

- 실재(reality)에는 진짜(true), 가짜(false)라는 말이 해당되지 않는다.

- 진리는 거창한 말이 아니라, 진짜(true)라는 형용사의 명사형일 뿐이다.

- Truth is the conformation of Appearance to Reality. - 화이트헤드

- 과학(science)은 진리(truth)를 추구한다. 즉 현상과 본체의 대응관계를 다룬다.

- 종교는 진리(truth)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그것은 신앙(belief)의 영역이다.

- 과학에도 최종적 진리(final truth)는 존재하지 않는다.

- 아름다움(Beauty)은 실재(Reality)와의 대응을 요구하지 않는다.

- 아름다움(Beauty)은 체험의 요소간의 상호적응(mutual adaptation)에서 발생한다.

- 達道(달도) : 달성해야 할 목표로서의 도(道)

- Discord : 불협(不協), 불화(不和).

- 불협이라는 것은 그만큼 울림이 강하다는 뜻이다.

- 악(惡)은 부정적 개념이지만, 추(醜)는 긍정적 개념이다.

- 고갱이나 고호는 추를 적극적 아름다움으로 활용했다.

- 모든 불협은 반드시 조화로 진행한다. 반면 미녀가 추녀로 전락하는 것은 잠깐이다.

- 우리가 살고있는 우주도 아름다워지려고 노력한다. 그것이 우주의 에로스(Eros)이다. 그래서 자연현상에는 아름다운 무늬가 많다.

- 플라톤의 이데아는 완벽한 형상의 아름다움(Formal Beauty)을 추구했다.

- 이데아(Idea) = 형상(Form) = 에이도스(eidos)

- 서양예술은 희랍예술의 형상적 완벽성 때문에 2천년을 정체했다. 19세기후반부터 혁명이 일어난다. 그러나 동양예술은 끊임없이 동적으로 발전하였다.

- 완벽한 아름다움은 하나의 저주이다.

- 낮은 단계의 완벽한 아름다움보다는 고매한 이상을 가진 불완전한 아름다움이 더 아름답다.

- 아름다움은 동적과정(Dynamic Process)이다.

- 동양언어에서는 선(善)과 악(惡)이 대립하지 않는다. 그것은 서양번역술어로서의 현대어의 개념일 뿐이다.

- 동양인의 윤리적 불선(不善)은 심미적인 추함일 뿐이다.

- 윤리적 가치는 궁극적으로 심미적 가치로 포섭된다.

- 아름다움은 진리나 선보다 훨씬 더 폭넓은 개념이다.

- 아름다움과 추함은 2원론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양자는 상호 가변적이다.

- rhetorical sophistication : 수사학적 정교성

- 서시(西施) :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이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헌상한 절세미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