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7/2009

플라톤과 노자

** 플라톤과 노자

- 존재(存在) : Being(있음, to be의 명사형)

- 희랍인들은 우리의 감관에 나타난 세계는 존재(Being)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 관념(idea)은 이상적(ideal)이다. 관념만이 이상적 존재다.

- 생노병사(生老病死) : 변화하는 세계. 불교의 기초개념

- 현상(現象, phenomena) <-> 본체(本體, noumena)

- 희랍철학의 2원론은 결국 종교적 신념의 소산이다.

- 현상과 본체를 2원론으로 나누는 생각의 근저에는 반드시 영육이원론(Body-Mind Dualism)이 있다.

-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 : 노자라는 사람이 지었다는 도와 덕에 관한 경전. BC 6세기 성립. 희랍의 탈레스와 비슷한 시기. 탈레스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정교한 이론

- 로고스(Logos) : 동양의 도(道)에 해당되는 희랍철학개념. "말한다"(legein)는 뜻이 있다.

- 도(道) : 명사 - 우주의 길(Way), 법칙, 원리 vs 동사 - 말한다(to speak)

- 道可道 : 도를 도라고 말한다면, 可道之道 : 말하여진 도(Conceptualized Tao : 관념화된 도),

- 非 : is not

- 상(常) : 항상되다. 정상이다. 일정하다.

- 상(常)은 불변(changelessness)이 아니라 변화의 항상성이다.

- constancy : 변화의 항구성

- 상도(常道)는 변화의 시공세계 속에 있다.

- 동양인들은 존재(Being)를 불변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변화의 지속(Duration)으로 생각했다.

- 지속(持續) : Duration

- 동양철학, 우리철학은 서양철학을 알아야 그 가치가 드러난다. 우리 언어가 이미 서양화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 철학은 경이, 타우마제인(thaumazein)으로부터 출발한다.

- 동양인은 상식(常識)을 존중한다.

- 상식(常識) : 상(常)의 식(識). 그것은 상도(常道)의 식이다.

- 동양인은 관념을 거부하고 변화를 긍정했다.

- "어떻게 살 것인가" 라는 질문이 "우주는 무엇이냐" 보다 더 중요했다. - 동양인

- 이성주의 = 수학주의

- 이성(Reason) : 수학을 하는 인간의 능력

- 동양인들은 안타깝게도 이성(reason)과 논리(logic)마저 부정해버렸다. - Joseph Needham

- 문명(Civilization)의 성립여건에 과학(Science)은 포함되지 않는다. 과학 없는 위대한 고문명은 얼마든지 있다. 인도, 중국, 페르시아 문명이 모두 그러했다.

- 불변하는 관념처럼 무서운 독단은 없다.

- 自然 : 스스로 그러하다.

- 새만금은 기하학적 관념론의 대표적 오류에 속한다.

- 플라톤의 기하학주의, 기독교신관의 디자인이론은 모두 우리가 살고있는 현상을 농단하는 독단의 우려가 있다.

- 의식주(依食住)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의식(意識)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