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古注)와 신주(新注)
** 고주(古注)와 신주(新注)
- 사서(四書)의 언해는 퇴계의 것은 없고, 율곡의 것이 전한다.
- 주희(朱熹, 1130 ~ 1200) : 남송의 철학자. 명은 희(熹), 字는 元晦(원회), 號는 晦庵(회암). 주자는 존칭이다.
- 신주(新注) : 주자와 그의 제자들이 단 주석
- 고주(古注) : 한(漢)나라 때 학자들의 주석
- 파출백가, 독존유술(罷黜百家, 獨尊儒術) : BC 136년 동중서의 건의로 유교를 국교화한 한무제 때의 사건
- 정현(鄭玄, 127 ~ 200) : 후한말의 대학자. 古文을 주로 하였으나 금고문을 집대성
- 공안국(孔安國) : 전한의 학자. 곡부의 사람. 공자의 12세손. 『고문상서』의 대가
- 포함(包咸) : 미상. 고주의 대가
- 왕숙(王肅, 195 ~ 256) : 삼국 위(魏)나라 출신의 대학자. 정현 주(注)를 비판
- 하안(何晏, 193 ~ 249) : 위나라의 대학자. 그 엄마가 조조의 측실(側室)이 되었고, 하안은 조조의 딸과 결혼했다. 도가 사상에 조예가 깊었다.
- 『논어집해』(論語集解) :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주석으로 한대의 고주를 집대성하였다.
- 주(注) : 한대의 고주를 가리킴
- 소(疏) : 고주를 후대에 다시 해석한 것
- 황간(皇侃, 488 ~ 545) : 梁나라의 학자. 吳郡의 사람.『論語義疏』를 지어 유명
- 『벽암록』(碧巖錄) : 송나라 때 설두스님이 『전등록』에서 공안 100개를 뽑아 만든 책. 원오스님이 날카로운 해설을 보탬.
- 네모토 : 에도의 유학자 오규우 소라이의 제자로서 아시카가 갓코오의 서고에서 『의소』를 발견. 1750년에 출판
- 형병(邢昺, 932 ~ 1010) : 북송의 학자. 『논어정의』를 써서 十三經注疏本의 성립에 기여
- 혜능(慧能, 638 ~ 713) : 당대 남종선(南宗禪)의 개조. 육조(六祖)
- 마조(馬祖, 709 ~ 788) : 석두스님과 함께 天下를 半分한 대선사. 우행호시(牛行虎視)로 유명
- 조주(趙州, 778 ~ 897) : 당말의 대선사. 평상심(平常心)의 철학을 확립
- 『금강경』: AD 2세기에 성립한 대승불교의 초기경전. 보살운동은 이 경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에반젤리즘(Evangelism, 전도주의) : 모든 종교에 공통된 것으로 교리를 조직적으로 전파하는 경향
- 당나라 불교의 힘은 막강한 사원경제에 기초하고 있었다. 842년 승려의 사유재산을 몰수하면서 불교를 몰락했다. (회창법난)
- 신유학운동(Neo-Confucianism) : 송학(宋學)이라고도 부른다. 외래종교인 수당대의 불학에 대하여 주체적인 유교를 재해석하는 사상운동
- 이기론(理氣論) : 신유학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적 틀. 불교 화엄사상의 이법계(理法界)·사법계(事法界)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사서삼경(四書三經) : 조선왕조의 과거시험 과목으로 잘 쓰인 말인데 중국에서는 별로 쓰인 용례가 드물다. 이것은 곧 우리나라의 고전이해가 "사서"라는 편협한 틀에 묶여 있음을 나타낸다.
- 삼례(三禮) : 1.『주례』(周禮) 2.『의례』(儀禮) 3.『예기』(禮記)
- Confucian metaphysics : 유교의 형이상학. 유교를 재해석하는 이론적 틀
- 주자 이전에는 사서(四書)라는 서물은 없다.
- 사서집주(四書集註) : 주자의 사서해석
- 주자의 사서해석은 철저히 이기론에 의한 연역적 해석이다. 이것을 신주(新注)라 한다.
- 안향(安珦, 1243 ~ 1306) : 고려말의 명신.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최초로 도입하였다. "동방의 주자"라고 칭송되었다.
- 정도전(鄭道傳, 1337 ~ 1398) : 충북 단양 삼봉에서 태어나 호를 三峰이라 한다. 정몽주와 같이 성균관 박사로 있었다. 조선왕조 문물제도의 이론적 기초를 닦은 대학자
- 주자학(朱子學, ChuHsiism) : 주자의 이론체계. 신유학(송학)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이다.
- 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정조 때 활약한 조선후기의 대유. 『논어』관계 저서로 『論語古今註』가 있다.
- 정다산의 어머니는 해남 윤씨로 그 유명한 자화상을 남긴 윤두서(尹斗緖)의 손녀이다.
- 윤선도(尹善道, 1587 ~ 1671) : 호는 고산(孤山). 『오우가』『어부사시사』등 명시조를 남김.
- 윤두서(尹斗緖, 1668 ~ 1715) : 정선(鄭敾)·심사정(沈師正)과 더불어 조선후기의 삼재(三齋)로 일컬어진 탁월한 화가
- 청나라의 고증학풍은 주자의 신주를 비판하고 한대의 고주를 옹호했다. 그렇다면 다산의 실학도 당연히 신주를 비판하고 고주를 옹호해야 할 것이나 실은 그렇지 않았다.
- 불교는 철저한 개인주의(individualism)에서 출발한다. 내가 곧 부처(하나님)이므로, 모든 것은 나로 시작하여 나로 완성된다.
- 출가(出家) : 인도문화의 습관이며 사문(沙門)의 길
- 성가(成家) : 중국문화의 원칙이며 유자(儒者)의 길
-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 : 동진(東晋) 혜원(慧遠)이 쓴 책의 이름으로 스님은 임금에게 예경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
- 신멸불멸논쟁(神滅不滅論爭) : 『홍명집』『광홍명집』에 실려있는, 유자와 불자 사이에서 벌어진 육조시대의 대논쟁
- 불교는 초윤리적(trans-ethical)이다. 이것은 유교가 불교를 비판하는 가장 핵심적인 논점이다.
- 유교의 상식주의 : 1. 초윤리(x) 2. 개인주의(x) 3. 신불멸(x)
- 조선사상사에 있어서 실학은 근원적으로 잘못 설정된 개념이다. 일제식민지 사관의 근대성 도석에서 연역되었을 뿐이다.
- 보왈(補曰) : 보충하여 말하기를 ...
- 다산은 주자학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주자학을 벗어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생각하고 있지는 않다. 그는 어디까지나 조선왕조체제의 옹호자이다.
- 『논어』가 해체되어야 공자가 산다.
- 이름의 접미어로서의 子는 "선생님"(Master)이라는 최고의 존칭이며 일가를 이루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