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0/2009

공자의 예술관 2 훈민정음과 회사후소

** 공자의 예술관 2 훈민정음과 회사후소


- 고려의 분권화된 권력구조를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제로 전환시킨 장본인이 바로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다. 그리고 이방원의 아들 세종으로부터 그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문화적 역량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 언어는 문자가 아니다. 모든 언어는 일차적으로 소리의 체계(system of sound)일 뿐이다.

- 갑골문도 중국인의 소리의 체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 S(주어) + V(동사) + O(목적) : 영어·중국어

- S(주어) + O(목적) + V(동사) : 한국어·일본어

- 훈민정음의 집필자는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최항, 박팽년, 강희안, 이개, 이선로 8인이다. 세종대왕 자신도 문종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에 손수 깊게 관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파스파 문자('Phags-pa characters) : 1269년 중국 원나라 국사인 파스파가 쿠빌라이의 명을 받아 몽골어를 포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 원나라의 멸망과 더불어 폐기됨.

- 신숙주(申叔舟, 1417 ~ 1475)는 성삼문(成三問, 1418 ~ 1456)과 함께 중국을 열세차례나 왕래하여 중국성운학을 공부하였다.

- 반절(反切) : 한자의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두개의 한자를 조합하는 체계. 上字가 聲母이고, 下字가 韻母이다.

- 닿소리(자음) : 홀로 설 수 없는 의존적인 소리

- 홀소리(모음) : 홀로 설 수 있는 독립적인 소리

- 한시(漢詩)는 첫행의 마지막 글자가 운의 기준이다. 2, 4, 6, 8행의 마지막 글자는 그 기준음과 같은 운의 글자이어야 한다.

- 중국어 : 이분법 : 성모와 운모

- 한국어 : 삼분법 : 초성, 중성, 종성

- C(자음) + V(모음) + C(자음)

- 아음(牙音) : 木 : velar

- 설음(舌音) : 火 : alveolar

- 순음(脣音) : 土 : labial

- 치음(齒音) : 金 : dental

- 후음(喉音) : 水 : glottal

- 詩는 포엠(poem)이 아니라 노래(song)다.

- 흥(興) :『시경』의 전문용어로 인간의 감정을 일으키는 상황묘사. 주제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 김명환(金命煥, 1913 ~ 1989) : 전남 곡성 옥과 출신. 20세기 소리북의 최고명인. 송만갑, 이동백, 정정렬, 장판개, 이화중 선등의 명창이 모두 김명환의 북을 거쳤다.

- 정권진(鄭權鎭, 1927 ~ 1986) : 보성출신의 명창. 아버지 정응민으로부터 수업. 정응민의 문하에서 성우향, 성창순, 조상현등이 배출되었다.

- 악(樂)은 작(作)이다. 작이란 창작이다.

- 전통음악에서는 작곡자와 연주자가 분리되지 않는다.

- 나의 인생은 내가 나의 삶을 창작하는데서 완성된다. 그것이 곧 "成於樂"의 의미다.

- 석인(碩人) : 『시경』「위풍(衛風)」의 노래이름. 위나라 군주부인 장강(莊姜)의 아름다움을 찬미한 노래.

- 盼(반) : 눈의 흰자위와 까만 눈동자가 완벽하게 분별되는 모습의 형용.

- 허련(許鍊, 1809 ~ 1892) : 호는 소치(小痴). 허균의 후예 가운데 진도에 정착한 허대의 후손. 추사 김정희의 영향을 받아 남종화풍을 이룩.

- 수묵산수는 채색화가 공화(空化) 되어간 것이다. 그 효시로서 盛唐의 왕유(王維, 699 ~ 759)를 들 수 있다. 왕유는 불교사상에 심취하여 독특한 화풍을 창조, 후대 문인화의 조종이 되었다.

- 백자는 청자의 완성이다.

- 後素는 莊姜이 얼굴에 흰분을 발라 화장을 완성하는 것처럼 흰 물감으로 채색화를 완성한다는 의미이다.

- 사혁(謝赫) : 南朝 齊나라의 화가, 세밀한 인물화에 뛰어났다. 『古畵品錄』(AD 490)이라는 미술평론집을 남김.

- 사혁은 육품에 능한자가 없다하여 통탄하여 『古畵品錄』의 서문에 육품을 제시

1. 氣韻生動(기운생동)
2. 骨法用筆(골법용필)
3. 應物象形(응물상형)
4. 隨類賦彩(수류부채)
5. 經營位置(경영위치)
6. 傳移摸寫(전이모사)

- 吳派(오파) : 강남의 吳縣의 沈周를 시조로 하는 문인화풍

- 浙派(절파) : 절강성의 대진(戴進)을 시조로 하는 직업화풍

- 형사(形似) : 형체를 리얼하게 그려내는 뎃생의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