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009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Pre-Socratics)은 자연철학 중심이었다.

- 우주의 아르케(원질), 우시아(실체, 존재)를 추구했다.

- 환경세계의 다양한 사태를 최소한의 원질로 환원시켜 설명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우주론적 견해가 제출되었다.

-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485 ~ 410 BC)는 "사람은 만물의 척도이다"(Man is the measure of all things.)라고 말했다.

- "사람은 만물의 척도이다"는 개인의 지각의 상대성을 주장한 것인데, 모든 독단을 허물어뜨리는 효과는 있지만, 이러한 상대주의만으로는 사회가 혼란에 빠진다.

- 소피스트가 활약한 시대는 아테네 민주정치의 전성시기였다. 페리클레스치세기였다. 이때 사람들의 관심이 우주에서 인간의 삶으로 옮아갔다.

- 소크라테스의 관심도 인간의 행복(eudaimonia)에 있었다.

-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플라톤이고, 플라톤의 제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 파르메니데스(불변의 철학) <-> 헤라클레이토스(변화의 철학)

-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파르메니데스의 불변의 우주론을 계승하였다.

- 예지계 - 이성 - 실체 - 존재(存在)

- 감각계 - 감관 - 현상 - 무상(無常)

- 이데아(Idea) = 관념적 형상(Form)

- transient : (형용사) 덧없는, 무상한, 일시의.

- 플라톤에게는 감관의 세계는 존재론적 대상이 될 수 없었다.

- 플라톤의 이원론 : Platonic Dualism

- 관념(idea)은 오로지 감각(sensation)과 내성(reflection)을 통해서만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 경험론의 창시자 죤 록크(John Locke, 1632 ~ 1704)

- 우리들의 인식구조는 이미 경험주의적 패러다임(Empiricist Paradigm)속에 들어 있다. - 도올

- reasoning : 인간의 추리능력

- 플라톤 : 기하학주의

- 아리스토텔레스 : 생물학주의

- 모든 물체 = 질료(hyle) + 형상(eidos)


*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인설(Four Causes)

1) 질료인(Material Cause)

2) 형상인(Formal Cause)

3) 동력인(Efficient Cause)

4) 목적인(Final Cause)


- 유수(流水)와 절수(絶水)의 미학 : 현재 시중에 예술품이라고 판매되고 있는 도자기의 대부분이 그 그릇의 근본적인 형상과 목적을 구현하고 있지 않다. 가치없는 모방장식품이다.

- 목적인과 동력인은 형상인 속으로 포섭될 수 있다. 결국 4인설은 형상인과 질료인으로 축약된다.

- 질료는 가능태(potentiality, dynamis)이다.

- 가능태 -> 현실태(actuality, energeia)

- 사물에 있어서 그것이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eidos)은 그 사물의 본질(essence)이 된다.

- teleology(목적론) : 존재하는 사물은 모두 목적(telos)을 가지고 있다는 세계관

- entelechy(entelecheia) : 목적론적인 실현태, 목적을 구현한 완성태

- hierarchy(하이어라키) : 목적론적 가치서열체계

- 순수형상(Pure Form) : 질료 없는 최고형상

- 순수질료(Pure Matter) : 형상 없는 최저질료

- Pure Form(순수형상) = God(하나님)

- 중세기 교부철학(Patristic Philosophy) : 교회신부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체계를 원용하여 만든 신학체계. 스콜라철학(Scholasticism)으로 발전.

- 아리스토텔레스는 "무로부터의 창조"를 인정하지 않는다. 순수형상으로서의 신은 단지 우주의 창조주가 아닌 디자이너일 뿐이다.

- 상기설(想起設, anamnesis) : 플라톤의 인식론. 우리는 이데아의 세계의 형상을 회상(reminiscence)해낼 뿐이다. 감각적 사물을 통하여 직접 획득하지 않는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순수질료를 최하위로 하고 순수형상을 최고위로 하는 위계적 세계관이다.

-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헤겔에 이르기까지 2천여 년 동안 서양철학은 같은 변증법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정(thesis)·반(antithesis)·합(synthesis)의 과정은 반드시 지양(止揚, Aufheben)이라고 하는 가치론적 고양의 성격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생성론(Becoming)적 측면이 강하다.

- 나의 손가락이 다섯 개인 것은, 장갑의 손가락 구멍이 다섯 개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은 아니다. 모든 목적론적 주장은 이러한 오류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있는 것은 있는 대로 족하다. 있는 것이 반드시 어떤 목적(telos)을 구현하기 위해 있는 것은 아니다.

- 모든 역사의 단계는 목적론적 구현을 위해서 존재한다. - 맑스의 유물변증법적 주장

- 맑스의 공산사회는 유토피아(Utopia)이며 그것은 플라톤의 이데아(Idea)와 상통한다.

- deep structure : 심층구조

-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생성론인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플라톤의 이원론을 약간 변형시킨 존재론에 불과하다. 아리스토텔레스철학은 불철저하다.